평균물가목표제 (AIT : Average Inflation Target)
평균물가목표제
(AIT : Average Inflation Target)
COVID-19 의 확산 이후, 경기 부양을 위해 FED(연방준비은행)는 금리를 0.00%~0.25%까지 낮추었다. 낮아진 금리로 인해 금융시장으로 돈이 흘러가 주가를 떠받치기 시작했고, 기업으로도 흘러가 코로나 쇼크로 인한 매출급감 및 현금흐름 문제를 지원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조치가 논의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코로나 확산세와 봉쇄조치로 인해 이미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인 2 % 를 크게 밑돌며 디플레이션 압력을 가하고 있다.
문제는 단순히 디플레 압력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러한 추세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고 궁극적으로 경제 활동을 더욱 침체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균물가목표제(AIT)가 발표되었다.
8/27일 개최된 FOMC에서 파월의장은 평균물가목표제를 도입하는 안건에 대해 만장일치로 결정했음을 발표했다. 즉, 일정기간 동안 완만한 수준에서 평균적으로 물가목표인 2%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핵심은 물가가 2%를 다소 초과하더라도 연준이 이를 용인하겠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지난 12개월간 인플레이션이 0% 였다면, 이후 몇 개월간 2%를 넘는다 하더라도 물가평균을 놓고 봤을 때 2%가 되지 않기에 용인한다는 뜻이다.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용인할지에 대해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은 총재는 2.25-2.5% 정도라고 언급했다. 통상 물가상승을 막기 위해 금리인상을 선제적으로 추진해오던 연준의 획기적인 변화다.
미국 연준의 2대 목표는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이다. 하지만, 경제학에서 배운 이론 상 이 두 가지는 양립이 불가하다. 통상 완전고용이 이루어지면 물가가 앙등하고, 물가가 안정되면 고용률이 떨어진다. 이 이론을 정립한 학자가 바로 영국의 경제학자 올번 윌리엄 필립스(Alban William Pillips)이고, 그의 이름을 따 '필립스 이론' 이라고 부른다.
<필립스 곡선>
필립스 곡선(영어: Phillips curve)은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간에 상충관계(역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그래프의 세로축에 인플레이션율(물가상승률), 가로축에 실업률을 두면 우하향하는 곡선이 되는데, 이는 여러 나라의 시대별 자료에 대한 실증 연구를 통해 명목 임금상승률이 높을수록 실업률이 낮게 나타나는 반비례 관계임을 보여준다. (출처:위키백과)
갑자기 필립스 곡선 이야기를 왜 하느냐? 그건 바로 이번 연준의 AIT 정책 발표가 필립스 곡선이 더이상 예전만큼 유효하진 않음을 뜻하기 때문이다. 즉, 저금리로 인해 경기부양이 되며 실업률이 낮아진다 하더라도, 인플레이션이 예전처럼 높게 발생하지 않게 되었다. 필립스곡선이 과거에 비해 완만해진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은 논의가 분분하나, 주로 거론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이유이다.
1. 아마존 효과 - 유통혁신에 따른 물가하락
2. 국제 공급망 확대로 임금상승이 물가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음
다시 AIT로 돌아와 생각해보자. 실업률 감소로 인한 물가상승 효과가 예전만 하지 못하기에 연준은 완전고용과 물가안정 두 가지 목표 중 완전고용에 더욱 집중할 것이다. 따라서 당분간은 현재와 같은 초저금리, 유동성 시대가 이어질 것이다. 즉, 우리의 투자 전략도 이에 맞추어 세워져야 할 것이며, 항상 파월 의장의 입을 주목하며 AIT 기류 변화라던지, YCC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 지 등을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