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용어 - LTV, DTI, DSR
부동산 용어 - LTV, DTI, DSR 오늘은 일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하는 부동산 용어인 LTV, DTI, DSR에 대해 알아보자. LTV란? - Loan to value 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주택담보대출비율 이라고 한다. - LTV = 주택담보대출금액 / 담보가치 x 100 - 즉, 본인이 소유한 집의 가치(가격)의 몇%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이다. - 예를 들어 LTV가 60%이고 집의 가치가 5억일 경우, 최대로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은 3억이고, 이 집을 사기 위해서는 2억원이 필요하다. - 이 때, 중요한 건 본인이 계약하는 집 값이 기준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그럼 무슨 금액을 기준으로 LTV를 주느냐? - 금융감독원은 1)KB부동산시세 2)국세청 기준시가, 3)한국감정원 시세, 4)감정..
2020. 9. 30.
부동산 용어 - 공동주택(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부동산 용어 - 공동주택(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지난 포스팅에 단독주택(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에 대해 정리한 데 이어, 이번에는 공동주택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공동주택 이란? - 여러 세대가 소유권을 가지고 공동으로 사는 주택을 말한다. 흔한 예시로 아파트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하나의 건축물의 벽·복도·계단·그 밖의 설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각 세대마다 독립된 주거생활이 가능한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한다. (출처 : 서울시 도시계획용어사전) 아파트란? -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 - 너무 잘 알아서 딱히 추가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연립주택이란? - 아파트와 비슷해 보이지만, 4층 이하의 건물 중 규모가 큰 주택이라..
2020. 9. 23.
부동산 용어 - 단독주택(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부동산 용어 - 단독주택(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대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나홀로 서울살이를 시작했다. 십수년을 원룸과 빌라, 고시원 등등에 거주하면서도 관련 용어들이 상당히 낯설었다. 사실 굳이 그 뜻을 알 필요까지 없었기 때문이었던 듯 싶다. 어찌됐든 낮은 보증금과 월세, 그리고 넓고 깨끗한 내부만 있으면 되었으니까. 부동산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은 지금, 자취방을 계약하며 가장 많이 들었던 주택 관련 용어들을 정리해본다. 단독주택 이란? - 일반적인 개념에서는 1인이 소유한 집에 1세대가 거주하는 집이라 보면 된다. - 다만 건축법 상 건축물의 용도로서 사용되는 단독주택은 아래와 같이 크게 네 가지(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으로 나뉜다. (출처 : 서울특별시 알기 쉬운 도..
2020.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