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부동산 용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용어8

전세퇴거대출이란? 전세퇴거대출이란? 전세 보증금 반환자금 대출, 혹은 임차 보증금 반환자금으로 불리우며, 기존의 세입자를 퇴거시키고, 세입자가 있는 주택에 집주인이 입주를 할 때, 혹은 전세금을 돌려줄 자금적 여유가 되지 않을 시 대출을 받을 수 상품입니다 자금을 은행으로부터 받는 것입니다.정부에서 연간 1억원까지 ‘생활안정자금’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지만 전세금이 대체로 1억 이상이기 때문에 이를 초과해서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과 동일한 정책과 규제를 받아 LTV, DTI, DSR을 고려해서 대출 한도가 정해집니다. 전세퇴거자금 대출이 부족하거나, 대상자가 아닐 경우에는 아래의 방법을 이용하자. ○ 상호 금융권 아파트담보대출(특판) 상호 금융권이란 단위농협, 신협, 새마을 금고 등을 말합니.. 2021. 9. 27.
7/28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국민께 드리는 말씀 7/28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국민께 드리는 말씀 - 과거 10년 평균 주택입주물량이 전국 46.9만호, 서울 7.3만호인 반면, 올해 입주물량은 각각 46만호, 8.3만호로 평년 수준을 유지하는 만큼 결코 지적과 우려 만큼 공급 부족이 있는 것은 아니며, 지금까지의 공공택지 지정실적 등을 바탕으로 볼 때 ‘23년 이후에는 매년 50만호 이상씩 공급된다는 점도 감안할 필요가 있을 것.주택수급 요인만이 현 시장상황을 가져온 주요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불확실성 등을 토대로 막연한 상승기대심리가 형성된 모습 - 첫째, 주택공급에 최우선 주력 - 둘째, 부동산시장으로의 유동성 과잉유입을 철저히 관리하겠습니다. 금년 가계부채증가율을 5∼6% 이내로 관리. 실수요자 이외 부동산대출은 최대한 억제. - 셋.. 2021. 7. 29.
지식산업센터 및 업무지원시설 입주가능 업종 지식산업센터 및 업무지원시설 입주가능 업종에 대해 정리가 잘 된 자료가 있어 참고차 기록. 아직은 시간이나 금전적 여력이 없어 지식산업센터에 대해 깊게 공부해보지 못했지만, 근시일내에 여유가 생기면 각잡고 공부해 봐야겠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출처 사이트 참조! (m.blog.naver.com/msj611121/221911187211) 지식산업센터 VS 업무지원시설 비교 - 지식산업센터 건물 내 지식산업센터와 업무지원시설 비중은 통상 70% : 30% 라고 한다. - 각 용도, 입주가능 업종, 세제혜택, 대출, 주업종, 가격 정보는 아래와 같다. 입주 불가능 업종 - 환경유해물질 배출하는 비도시형 제조업 - 건축업 - 도소매 무역의 유통업 - 소비자 대상 판매하는 소매업 2020. 12. 28.
부동산 용어 - LTV, DTI, DSR 부동산 용어 - LTV, DTI, DSR 오늘은 일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하는 부동산 용어인 LTV, DTI, DSR에 대해 알아보자. LTV란? - Loan to value 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주택담보대출비율 이라고 한다. - LTV = 주택담보대출금액 / 담보가치 x 100 - 즉, 본인이 소유한 집의 가치(가격)의 몇%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이다. - 예를 들어 LTV가 60%이고 집의 가치가 5억일 경우, 최대로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은 3억이고, 이 집을 사기 위해서는 2억원이 필요하다. - 이 때, 중요한 건 본인이 계약하는 집 값이 기준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그럼 무슨 금액을 기준으로 LTV를 주느냐? - 금융감독원은 1)KB부동산시세 2)국세청 기준시가, 3)한국감정원 시세, 4)감정.. 2020. 9. 30.
부동산 용어 - 공동주택(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부동산 용어 - 공동주택(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지난 포스팅에 단독주택(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에 대해 정리한 데 이어, 이번에는 공동주택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공동주택 이란? - 여러 세대가 소유권을 가지고 공동으로 사는 주택을 말한다. 흔한 예시로 아파트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하나의 건축물의 벽·복도·계단·그 밖의 설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각 세대마다 독립된 주거생활이 가능한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한다. (출처 : 서울시 도시계획용어사전) 아파트란? -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 - 너무 잘 알아서 딱히 추가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연립주택이란? - 아파트와 비슷해 보이지만, 4층 이하의 건물 중 규모가 큰 주택이라.. 2020. 9. 23.
부동산 용어 - 단독주택(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부동산 용어 - 단독주택(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대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나홀로 서울살이를 시작했다. 십수년을 원룸과 빌라, 고시원 등등에 거주하면서도 관련 용어들이 상당히 낯설었다. 사실 굳이 그 뜻을 알 필요까지 없었기 때문이었던 듯 싶다. 어찌됐든 낮은 보증금과 월세, 그리고 넓고 깨끗한 내부만 있으면 되었으니까. 부동산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은 지금, 자취방을 계약하며 가장 많이 들었던 주택 관련 용어들을 정리해본다. 단독주택 이란? - 일반적인 개념에서는 1인이 소유한 집에 1세대가 거주하는 집이라 보면 된다. - 다만 건축법 상 건축물의 용도로서 사용되는 단독주택은 아래와 같이 크게 네 가지(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으로 나뉜다. (출처 : 서울특별시 알기 쉬운 도.. 2020.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