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와 주식/경제와 주식 용어52 미국 QQQ ETF 분석 (QQQM 비교) 미국 QQQ ETF 분석 오늘은 미국의 대표적인 ETF 중 하나인 QQQ에 대해 알아보자. 1. QQQ ETF 상품소개 QQQ ETF는 미국의 나스닥100지수를 추종하는 ETF이다. 상품 소개에 앞서 다우지수, S&P500과 함께 미국 3대 지수로 불리는 나스닥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나스닥이란? 장외시장에서 전자식으로 증권시세를 보도하는 나스닥 시장의 종합주가지수를 말한다. 주로 구글, 애플, 야후, 아마존닷컴 등 첨단기술과 인터넷 기업이 상장돼 있다. 시가총액 기준 방식으로 지수가 산출되며 1971년 2월 5일에 발표됐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나스닥지수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나스닥100이란? 미국 나스닥 시장 상장종목 중 시가총액이 크고 거래량이 많은 100개 비금융 업종.. 2020. 12. 15. 미국 SPY ETF 분석 (IVV, VOO 비교) 미국 SPY ETF 분석 (IVV, VOO 비교) 미국 주식을 하나도 모르는 주린이 입장에서 내년도 유망 종목으로 선별된 몇몇 ETF들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보고자 한다. 한국 주식의 경우 주식 자체의 기술적 분석은 차치하더라도 한국에 거주하면서 알게 모르게 보고들은 정보들이 있어 기업을 분석하기가 용이한 것이 사실이다. 당장 네이버 뉴스만 뒤적거리고 검색해봐도 굵직한 이야기들을 찾을 수 있으니까 말이다. 그런 맥락에서 미국 주식은 일단 기업부터 생소하다. 정말정말 글로벌로 유명한 다국적 기업들만 알 뿐 미국 내에서 내수 위주로 하는 기업이라던지, B2B 기반의 산업재 기업, 혹은 내가 관심이 없는 농업이나 제약 등의 산업에 기반한 회사는 거진 모른다고 봐야한다. 기업을 모르니 빠르게 기업들의 소식을 접.. 2020. 12. 13. 수익률곡선제어 (YCC: Yield Curve Control) 수익률곡선제어 (YCC: Yield Curve Control) COVID-19로 인한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경기부양을 위한 각 국 정부의 정책이 잇따르고 있다. 그 중 각 국 중앙은행에서 집행하고 있거나, 향후 논의되는 통화정책으로 수익률곡선제어(YCC)라는 용어가 부쩍 눈에 띈다. 10월 초 기준 지속적인 양적완화에도 추가적인 부양책을 원하는 시장의 목소리가 강하게 나오고 있으며, 경기지표가 쉽사리 살아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Fed는 평균물가목표제(AIT)를 선언하며, 앞으로 추후 몇 년간은 금리인상이 없을 것이라는 강한 시그널을 시장에 던져주었다. 지난 9월 15일 열린 FOMC에서 연준은 이전에 공표한 평균물가목표제(AIT)에 대해 다시 한 번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제롬.. 2020. 10. 3. 평균물가목표제 (AIT : Average Inflation Target) 평균물가목표제 (AIT : Average Inflation Target) COVID-19 의 확산 이후, 경기 부양을 위해 FED(연방준비은행)는 금리를 0.00%~0.25%까지 낮추었다. 낮아진 금리로 인해 금융시장으로 돈이 흘러가 주가를 떠받치기 시작했고, 기업으로도 흘러가 코로나 쇼크로 인한 매출급감 및 현금흐름 문제를 지원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조치가 논의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코로나 확산세와 봉쇄조치로 인해 이미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인 2 % 를 크게 밑돌며 디플레이션 압력을 가하고 있다. 문제는 단순히 디플레 압력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러한 추세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고 궁극적으로 경제 활동을 더욱 침체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 문제를 해결하.. 2020. 9. 19. 이전 1 ···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