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상장 후 시가총액 예상치 약 31조원 by SK증권
카카오뱅크가 전세계 인터넷은행들의 성공 사례가 된 이유는 다음의 네 가지이다.
1) 카카오 플랫폼의 공유, 2) 언택트 금융모델의 메리트, 3) 초기의 빠른 증자와 인프라 투자, 4) 핵심사업의 적절한 선택과 집중.
상장 후 시가총액 예상치는 약 31조원으로, 2021년말 기준 PBR 5.5배가 적용되었다. 타 은행 대비 월등히 높은 PBR이 장기적으로 정당화되려면 ‘고객 데이터와 A.I를 활 용한 신용위험 평가 능력’을 입증해야 한다.
성공이유 1. 카카오 플랫폼을 공유
카카오가 갖고 있는 고객 접근성, 편의성에서 나오는 우수한 마케팅 능력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함.
카카오뱅크가 아무리 좋은 전산 시스템과 금융상품(예금, 대출)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고객 마케팅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면, 지금과 같은 빠른 성장세를 이루지 못했을 것.
성공이유 2. 언택트 금융 모델의 메리트
점포가 없는 것이 강점이다. 점포망이 없어서 가장 유리한 점은 판관비가 적게 들어간다는 것.
2021 년 3 월말 현재 카카오뱅크 의 총 임직원은 952 명인데, 인원당 은행자산은 301 억원으로 4 대 은행 평균치(271 억 원)을 상회.
카카오뱅크의 2020 년 Cost-Income Ratio(순영업수익 대비 판관비의 비율)은 52.2% 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 은행 평균치인 52.9%를 하회하는 것으로, 영업 개시 3년 만에 업계 평균치보다 양호한 비용 효율성을 기록한 것은 매우 성공적.
장기적으로 카카오 뱅크의 Cost-Income Ratio 는 30%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 시중 은행들에 비해 인건비를 아끼면서, 이를 유무형 사업 인프라에 투자.
성공이유 3. 설립 초기 빠른 증자와 적극적인 투자
2017 년 카 카오뱅크의 사업인프라 투자(유무형자산 취득+광고선전비) 금액은 789 억원으로, 중소 형은행들인 SC 제일, 경남, 씨티, 광주은행 등에 비해서도 큰 금액을 집행. 키움증권의 사례.
성공이유 4. 우량등급에 집중하며 건전성 유지
카카오뱅크는 사업 초기부터 2020 년까지 개인 신용대출이라는 넓은 카테고리를 주 사 업영역으로 삼고, 일부 전세자금 대출을 영위했다. 타겟 고객층은 고신용, 급여소득자, 젊은 층.
카카오뱅크는 2021 년 들어서야 7~8 등급 차주에 대한 대출을 실시했으며, 2020 년까 지는 5~6 등급 이상의 우량등급 차주들에게 집중.
사업 초기의 은행에게 있어서 부실대출 문제는 굉장히 심각할 수 있음.
'경제와 주식 > 경제와 주식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3주차 미국 주식시장 정리/향후 전망 (0) | 2021.07.21 |
---|---|
미국 ETF 분석 : META ETF (2) | 2021.07.19 |
더존비즈온 - 매출채권 팩토링 서비스 (0) | 2021.07.18 |
7월 2주차 미국 주식시장 정리/향후 전망 (0) | 2021.07.15 |
미국 ETF 분석 : FNGU ETF (0) | 2021.07.09 |
7월 1주차 미국 주식시장 정리/향후 전망 (2) | 2021.07.05 |
SK이노베이션 물적분할 논의, 향후 주가 전망은? (0) | 2021.07.03 |
'구글 갑질’ 비판하던 네이버, 제일 먼저 반값 수수료 손잡았다 (0) | 2021.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