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ETF 분석 : KWEB ETF
중국 인터넷 기업들로 구성된 KWEB ETF에 대해 알아보자.
1. KWEB ETF 상품소개
- KWEB ETF란?
KWEB ETF는 해외에 상장된 중국 인터넷 기업으로 구성된 해외 주가지수를 추적한다.
- KWEB ETF 운용사는?
운용사는 크랜쉐어즈(KraneShares )라는 곳으로, 미국시장에서 23개의 ETF를 운용하고 있으며,
총 운용자산 규모는 $5.99B이며, 평균 운용 수수료는 0.7%이다.
아래는 크랜쉐어즈에서 운용하는 Top 5 상품들이다. 본 포스팅에서 다르는 KWEB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2. KWEB ETF 주가/수익률/시총/일거래량/수수료/평균스프레드
- 주가: $61.81
- 수익률 : 3개월 기준 -14.35%, 1년 기준 -4.91%, 5년 기준 14.16%
- 시총 : $5.1B (한화로 약 5.86조원)
- 일거래량 : $290M (한화로 약 3,335억원)
- 수수료 : 0.76%
- 평균스프레드 : 0.02%
3. KWEB ETF 구성국가
- KWEB ETF 구성 국가는 홍콩 73%, 중국 27%로 되어 있는데, 중국기업 100%라고 보면 되겠다.
4. KWEB ETF 구성종목
- 텐센트가 10.17%, 알리바바가 9.14%, 메이투안 7.67%, 핀듀오듀오 6.76%, JD.com 6.27% 등 Top 10개 종목이 전체의 약 59.69%를 차지한다. 상당히 상위 10개 종목에 대한 집중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 텐센트 홀딩스
텐센트 홀딩스는 부가 가치 서비스(VAS) 및 온라인 광고 서비스 제공에 주로 관여하는 투자 지주 회사이다.
이 회사는 세 개의 주요 부문을 운영하고 있다
1) VAS 부문은 주로 다양한 인터넷 및 모바일 플랫폼에서 온라인/모바일 게임, 커뮤니티 부가가치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비저닝에 관련되어 있고,
2) 온라인 광고 부문은 주로 디스플레이 기반 광고와 성능 기반 광고에 관련되어 있다.
3) 기타 부문에는 주로 결제 관련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 제공 사업이 있다.
- 알리바바
알리바바 그룹 홀딩스는 판매업자, 브랜드 및 기타 사업들이 신기술의 힘을 활용해 사용자와 고객과 소통하고 영업할 수 있도록 기술 인프라와 마케팅을 제공하는 지주회사다.
회사는 4개의 사업부문을 운영하고 있다.
1) 핵심 커머스 부문은 타오바오 마켓플레이스와 티몰을 통해 중국 소매, 중국 도매, 국제 소매, Cainiao 물류 서비스, 현지 소비자 서비스를 제공한다.
2)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은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네트워크 가상화 서비스, 빅데이터 분석 등을 포함한 완벽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품군을 제공한다.
3) 디지털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부문은 핵심 비즈니스를 넘어 소비자 서비스를 제공한다.
4) 혁신 이니셔티브 및 기타 부문은 새로운 서비스와 제품을 혁신하고 제공하는 것이다.
- 메이투안
메이투안(구. 메이투안디엔핑)은 생활 밀접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국 기반의 전자 상거래 플랫폼 기업이다. 이 기업은 소비자와 기업을 연결하여 사람들의 식생활에서 발생하는 요구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기업은 인스턴트 식품 주문 및 배송 브랜드인 메이투안(Meituan)을 소유하고 있으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인 '메이투안(Meituan)'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자전거 공유 브랜드인 '모바이크(Mobike)'를 운영하고 있다.
- 핀듀오듀오
핀듀오듀오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사업자이다. 모바일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핀두오두오(Pinduoduo)를 제공한다. 당사의 플랫폼은 금전적 가치 상품과 대화형 쇼핑 옵션을 제공한다.
이 플랫폼은 다양한 범위의 제품의 가상 바자와 유사하게 구축되었다. 개별 구매 옵션과 팀 구매 옵션을 모두 제공한다. 의류, 신발, 가방, 육아용품, 식음료, 신상품, 가전제품, 가구, 생활용품, 화장품, 스포츠용품, 피트니스용품, 자동차 액세서리가 포함된 제품군을 제공한다.
이 플랫폼은 Weixin Pay, QQ Wallet, Alipay 및 Apple Pay를 포함한 다양한 온라인 결제 옵션을 제공한다.
- JD.com
JD닷컴은 온라인 직접판매 회사이다. 이 회사는 웹 사이트인 www.jd.com 을 통해 중국의 제조업체, 유통업체 및 출판사가 제공하는 전자 및 가전 제품 및 일반 제품(오디오, 비디오 제품 및 책 포함)의 판매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타사 셀러가 회사의 웹 사이트에서 고객에게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온라인 시장도 제공한다.
이 회사는 인터넷을 통한 제품 제공의 가속화 및 개선을 위해 단일 서비스 클래스를 통해 운영한다. 또한 온라인 및 직접 지불 옵션과 고객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기업은 50개 이상의 도시에서 약 210개의 창고를 운영하고 있고 중국 전역의 약 2,350개 카운티와 5,370개 이상의 배송 스테이션과 픽업 스테이션을 운영하고 있다.
출처 : https://m.stock.naver.com/index.nhn
5. 배당현황
- 연 배당을 실시하며 작년에는 주당 $0.221를 지급했다. 배당률로 치면 0.3% 수준.
6. 결론
중국 기술주가 꾸준히 우상향 한다는 믿음이 있다면 투자하기에 좋겠다. 다만, 수익률 측면으로 봤을 때 KWEB보다는 CQQQ 가 월등히 더 높은 수익률을 보인다.
CQQQ와 QQQ를 비교하자면, 이번에는 QQQ의 압승이다.. 지금까지의 트렌드가 계속된다고 가정할 때, 기술주 자체에 투자하고 싶다면 미국 나스닥100에 집중하는 것이 좋겠으나, 이마저도 국가별로 분산하고 싶다면 CQQQ를 함께 가져가는 정도가 좋지 않을까 싶다.
'경제와 주식 > 경제와 주식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ETF 분석 : FEZ ETF (0) | 2021.08.06 |
---|---|
4Q21부터 DDR5 전환 본격화 (0) | 2021.08.04 |
7월 5주차 미국 주식시장 정리 (0) | 2021.08.02 |
7월 4주차 미국 주식시장 정리 (2) | 2021.07.27 |
미 금리 급락 배경과 추가 하락 요인 점검 (KB증권) (0) | 2021.07.23 |
7월 3주차 미국 주식시장 정리/향후 전망 (0) | 2021.07.21 |
미국 ETF 분석 : META ETF (2) | 2021.07.19 |
더존비즈온 - 매출채권 팩토링 서비스 (0) | 2021.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