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부동산트렌드쇼 후기 - 2021시장전망(2)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시장흐름

2020 부동산트렌드쇼 후기 - 2021시장전망(2)

by 송장군. 2020. 9. 5.
반응형

2020 부동산트렌드쇼 후기 - 2021시장전망(2)

두 번째 연사였던 임기흥 신한은행 센터장님의 강연

 

<2020 부동산 시장전망>by 임기흥 신한은행 센터장 +내 생각 첨언!

1. 고령화의 역설

-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밀려온다고들 생각한다. 그리고 통상 은퇴하면, 일반적으로 교외 한적한 시골로 나가 살고 싶어 한다고들 생각한다.

- 하지만, 최근 통계에 따르면 평균 은퇴나이는 약 68세라고 한다. 68세 이전까지는 경제활동을 하는 경제활동인구라고 봐야 한다. 경제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일자리가 있는 주요 도심에 출퇴근이 가능해야 한다.

- 68세 이후 은퇴를 한다고 하더라도, 경제활동(20대 중반~60대 중반)까지 주요 도심에서 거주했던 사람들은 생각보다 시골을 원하지 않는다. 역설적이게도, 기존 거주하던 도심에 살길 원한다.

- 물론 한창때 살던 주요 도심의 큰 평형 집은 아니더라도, 평수 및 위치는 조정되지만 그럼에도 도심접근성이 중요하다.

- 소외에 대한 두려움. 자식, 친구들이 모두 도심에 있다.

 

2. 아파트 선택 시 중요한 요소

- 직주근접이 당연히 가장 핵심적인 요소

- 그러나 의외로 학군지의 중요도가 조금씩 떨어진다는 분석도 보인다.

- 한국사회 인구구조가 노령화되며, 이로 인해 생활편의성(병원 등)이 더더욱 중요해진다.

Matt's Insight

-> 고령화로 인해 서울/수도권 거주 은퇴자가 집을 팔고 지방으로 내려간다는 건 편견이라는 좋은 포인트

-> 궁금한 마음에 통계청 통계를 찾아봤더니, 실제로 2000->2018년 오면서 고령자가구의 주택유형 구성비에서 아파트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며, 반대로 단독주택 비중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었다.

-> 부모님께 잘하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