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부동산트렌드쇼 후기 - 2021시장전망(1)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시장흐름

2020 부동산트렌드쇼 후기 - 2021시장전망(1)

by 송장군. 2020. 9. 4.
반응형

2020 부동산트렌드쇼 후기 - 2021시장전망(1)

 

부동산에 관심을 갖게 된 지 채 1년이 되지 않은 부린이 입장에서, 앞으로의 시장 전망 및 대응 전략을 짜기 위해 2020 부동산 트렌드 쇼에 다녀왔다.

항상 부동산 카페나 블로그에서 필명과 글로만 접하던 네임드 분들을 직접 뵙고 강연을 듣게 되니, BTS를 목놓아 부르는 여고생의 마음을 알 것만 같다.

참관했던 첫 번째 세션에 대한 간략한 메모를 남겨본다.

 

<2020 부동산 시장전망>by 안명숙 우리은행 센터장

1. 유동성의 힘

- 자산 총액 대비 'M1+MMF' 비율이 2007년 보다 낮다.

- 노도강, 금관구의 하반기 견인이 예상된다.

2. 전세가 상승

- 정부가 쏟아내는 정책들이 실질적인 전세가 상승을 막지 못할 것이다. 결국 하반기 전세 공급이 부족하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으로 전세가 상승은 이어질 것이고, 매매가를 밀어 올릴 것.

- 1, 2기 신도시 역사를 봤을 때, 단기적으로 공급이 집중될 경우 매매가가 4-5년 정도에 걸쳐 장기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 3기 신도시 입주하는 시기에 맞추어 전략을 잘 고민해 보아야 한다.

3. 실 수요자

- 청약 당첨자 통계. 30대 특별공급 청약비중이 생각보다 높음.

4. 재건축보다는 재개발

- 재개발은 초과이익환수제 적용 X. 기준 시가 낮기에 보유세도 낮음.

5. 코로나

- 외국인 수요 급감에 따라 명동, 이태원 등 위축

- 코로나 지속될 경우, 내수 수요가 탄탄히 뒷받침되는 상권을 선호

- 강남 꼬마빌딩 선호

 

Matt's Insight

-> 귀에 딱지가 얹도록 들었던 '실수요자 1주택은 필수' 라는 말에 백 번 공감

-> 30대라면 청약 특별공급을 바라던지, 그게 아니면 금리가 올라도 버틸 수 있는 수준에서 영끌로 사던지.

-> 유동성의 힘, 여력이 아직 남아있다.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저금리 유지 및 양적완화가 지속되는 기조이기에, 올 하반기~21년까지는 더 가지 않을까?

-> 지금 사면 1-2년 상승장 꼭지를 찍고, 하락장을 경험할 수 밖에 없다. 어차피 투기과열지구로 팔 수도 없는 상황이라, 마음 편히 한 번의 하락장을 야수의 멘탈로 견뎌내고, 다음 상승장에 판다는 마음가짐을 갖고 시작하자.

-> 구매력 있고, 서울 예비수요에 속하는 30대 실수요자가 얼마나 남아있을까? 관련된 통계나 지수가 있을까? 한 번 찾아보자...

-> 재개발 공부를 해보자!

-> 꼬마빌딩은 장기플랜으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