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부동산 시장흐름' 카테고리의 글 목록 (7 Page)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시장흐름65

2.4 대책 후 신규매수시 현금청산 우려 2.4 대책 후 신규매수시 현금청산 우려출처 :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5&aid=0004495663&sid1=001 현금청산이란, 개발 이후 새 아파트를 받지 못하고 시세보다 싼 감정평가 가격으로 보상받는 것이다. 갑자기 왜 현금청산 이야기가 나오느냐? 그것은 바로 2.4 대책 이후 사들인 주택 등 부동산은 공공 주도 개발이 이뤄져도 아파트 우선공급권(입주권)을 주지 않기로 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역세권, 준공업지역, 저층 주거지를 개발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과 공공이 재건축·재개발의 주체가 되는 ‘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의 대상지가 아직 한 곳도 정해지지 않았다는 점! 본인이 의도치 않게 운 나쁘게도 공공 주도 개발될 곳을 .. 2021. 2. 8.
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획기적 확대방안 발표 - 원문 다운로드 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획기적 확대방안 발표 2021. 2. 5.
여의도 목화아파트 재건축 확정 여의도 목화아파트 재건축 확정 여의도에서 일하며 늘 느끼는 것 중 하나, 왜 여기는 이렇게 유달리 오래된 아파트들이 많을까? 우리가 생각하는 오래된 정도를 넘어서 진짜 '낡았다, 이러다 무너지겠다' 싶은 곳들이 참 많다. 특히 이번에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한 목화아파트는 심지어 1977년도에 지어졌다... 안전진단은 재건축 사업의 첫 관문으로, A∼C등급 유지·보수(재건축 불가), D등급 조건부 재건축(공공기관 검증 필요), E등급 재건축 확정 판정으로 나뉜다. 이 중 목화아파트는 E등급을 받아 재건축이 확정되었다. 비단 목화 뿐만 아니라 다른 곳들도 재건축을 오래전부터 추진중이다. 사실 서울시에서 2018년도에 박원순 전 시장이 '여의도·용산 통합개발'(마스터플랜)을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당시 청와대/국토.. 2021. 1. 31.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포인트!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포인트! 출처 : news.mk.co.kr/v2/economy/view.php?sc=30000001&year=2021&no=64310 3기 신도시 사전청약 관련 좋은 기사가 있어 핵심 포인트만 요약해본다. 사전 청약이란? 사전청약이란 본청약 1, 2년 전에 청약을 미리 진행하는 제도를 말한다. 미리 확보한 일부 분양예정 주택에 대해 실시하게 되며 사전 당첨자가 본 청약까지 자격을 유지하면 당첨이 확정되는 식이다. 사전청약 일정 및 물량은? 7월 : 인천계양(1만1000가구) 9-10월 : 남양주 왕숙2 일부(1500가구) 11-12월 : 남양주 왕숙 일부(2400가구), 부천 대장 일부(2000가구), 고양 창릉 일부(1600가구), 하남 교산 일부(1100가.. 2021. 1. 23.
2021년 1월 18일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 부동산 안정화 실패 2021년 1월 18일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 부동산 안정화 실패 오늘 있었던 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부동산 투기 차단에 역점을 뒀지만 결국 부동산 안정화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설 전에 특단의 공급대책을 마련해 발표하겠다" 많은 국민과 전문가들이 지난 수 년간 목놓아 외칠 동안 쌀 누님께서는 두 귀를 닫고, 그저 시장이 안정화 되고 있다는 말만 반복해 왔다. 다행히도 이제서야 안정화에 실패했다는 점은 인정했다. 너무 많이 늦고 그로 인해 수많은 국민들이 물질적/정신적 피해를 입고 있지만, 그럼에도 어찌 됬든 저찌 되었든 말 그대로 정상화 혹은 안정화를 해야 하니깐 일단 알겠다. 급등과 급락은 좋지 않다. 예기치 않은 피해자를 더욱 양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르건 내리건 좀 더 천천히, 시장의 .. 2021. 1. 19.
공공재개발 시범사업 공모 8곳 최종후보지 선정 공공재개발 시범사업 공모 8곳 최종후보지 선정 주요 내용을 요약해보자. 자료 원문은 가장 아래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선정지역 8곳은? - 선정지역 8곳 세부내역 - 정체된 사업을 촉진하기 위해 공공재개발을 추진하는 구역에서는 용적률 상향(법적상한의 120% 허용) 등 도시규제 완화, 분양가상한제 적용 제외 등 사업성 개선, 사업비 융자, 인허가 절차 간소화 등 각종 공적지원이 제공됨 - 새로 건설되는 주택 중 조합원 분양분을 제외한 물량의 절반은 공공임대, 수익공유형 전세 등으로 공급 (예시 : 조합원분양 50% / 공공임대 20% / 공공지원임대 5% / 일반분양 25%) - 금회 선정된 기존 정비구역에 대해서는 토지거래 허가구역 지정을 추진할 것임. - 향후 일정은? 공공재개발 후보지 첫 선정 n.. 2021.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