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3주차 미국 주식시장 정리 및 전망
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주식/경제와 주식 흐름

9월 3주차 미국 주식시장 정리 및 전망

by 송장군. 2022. 9. 25.
반응형

9월 3주차 미국 주식시장 정리 및 전망

https://compoundadvisors.com/2022/10-chart-thursday-9-15-22

 

10-Chart Thursday (9/15/22)

Note: I have a new channel on YouTube where I share my latest thoughts on markets and investing. You can view the most recent video here. __ This week’s post is sponsored by YCharts. Mention Charlie Bilello to receive a free trial and 20% off you

compoundadvisors.com


1) 불쾌한 서프라이즈

미국 인플레이션은 8월에 전년 동기 대비 8.3% 상승하여 예상보다 더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7월의 8.5%에서는 하락했지만, 시장 참가자들은 훨씬 더 큰 하락을 예상했다.(8%).

중요한 것은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Core CPI가 3월 이후 최고 수준인 6.3%까지 올랐다는 것이다.

 

주요 원인은 "주거비"의 증가로, 전월의 5.7%에서 6.2%로 증가했다.

주거비는 CPI의 가장 큰 단일 구성요소(지수의 33%)이며, 작년에 임대료가 10% 상승하고 주택 가격이 18% 상승한 것을 감안했을 때, 여전히 과소평가 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6.2% YoY).

이는 a) 실제 인플레이션율이 8.3%보다 높고, b) CPI 내 주거비 항목이 지난 2년 동안 실제 주택 인플레이션과의 격차를 좁힐 때까지 높은 인플레이션율을 지속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17개월 연속 실질임금상승률 마이너스

미국의 임금 상승률은 17개월 연속으로 물가 상승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 이것은 미국 노동자의 부가 감소하며, 연준이 계속해서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 주된 이유가 된다.

 

그런 면에서, 시장은 현재 다음 주 연준의 75bp 인상(3.00-3.25%)과 11월의 75bp 인상(3.75-4.00%)을 예상하고 있다. 이는 이전의 전망치보다 11월에서 25bp 상승한 것이다.

더 나아가 시장은 현재 연준의 금리 인상을 내년 1분기까지 4.25~4.50%로 책정하고 있으며, 2023년 하반기에 금리 인하와 2024년 추가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3) 연준은 왜 내년에 금리를 인하할까?

시장 참가자들은 왜 내년에 금리가 인하할 것이라 예상하는가? 그들은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가?

경기 침체로 인해 인플레이션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년에 비해 소매판매가 8.9%나 성장했는데, 이것이 여전히 경기가 강하다는 증거라고도 볼 수 있는 것 아닐까? 아니다.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실질 소매판매는 전년대비 0.6%의 성장률을 기록하는데 그친다.

 

17개월 동안 물가가 임금을 상회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여전히 지출을 유지하고 있을까?

그들은 덜 저축하고(2009년 이후 최저 수준의 저축률), 더 많이 빌리고 있다(2011년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소비자 신용).


4) 변하고 있는 시대

저축자들이 현금으로 상당한 수익률을 올린 지 오래되었지만 시대는 변하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이자를 주는 온라인 저축 계좌의 이율은 2.61%까지 올라갔고, 연준이 다음 주에 금리를 인상한다면 빠르게 3%를 넘어갈 것이다. 

미 국채 1년물 수익률은 3.92%로 2007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참고로, 불과 15개월 전만 해도 사상 최저치인 0.04%를 기록했었다.

 

모든 듀레이션의 국채 수익률은 더 높게 움직이고 있으며, 왼편의 국채들에서 가장 큰 상승폭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1년물 수익률이 10년물 수익률보다 50bp 높아진, 역전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199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국채 수익률을 확인해보자.


5) 더 많은 모기지 고통

국채 금리만 상승하는 것이 아니다. 모기지 역시 계속 오르고 있다.

미국의 30년 만기 모기지 이자율이 2008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6%를 넘어섰고, 이는 지난 해의 두 배 수준이다.

가격 상승과 모기지 이자율 상승이 결합되어 평균적인 주택을 평균적인 미국 가정이 감당할 수 없게 되었다.

2년 전 30년 모기지 이자율은 2.87%였고 미국의 평균 신규 주택 가격은 $405,000였다.

현재, 30년 모기지 이자율은 6.02%이고 평균 새 주택 가격은 $547,000이다.

2년 사이에 필요한 계약금이 28,000달러 증가하였고(20% 계약금 가정), 월별 지불액이 96% 증가했다.(1,343달러에서 2,628달러로). 이것은 심지어 재산세, 보험, 공과금, 수리/유지보수를 포함하지 않은 금액이다.


6) 미국 전략비축유

인플레이션 보고서의 밝은 부분 중 하나는 이번 달에도 계속된 오일 가격의 급격한 하락이다.

미국의 오일 가격은 갤런당 $3.71(전국 평균)로 하락했으며, 이는 6월 중순의 사상 최고치보다 26% 낮은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동시에 1984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한 미국 전략비축유(US Strategic Petroleum Reserve)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25% 감소는 이미 연간 최대 규모이며, 올해는 아직 3.5개월이 더 남아 있다.

오일 가격의 하락폭이 얼마나 미국 전력비축유 때문일까? 원유 시장은 여러 요인에 따라 글로벌 시장이기 때문에 쉽게 말할 수는 없지만, 예상만큼 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다. 세계 원유 소비량은 하루 약 1억 배럴로 추산되며, 전략비축유 판매로 인해 올해 들어 지금까지 일일 공급량에 1% 미만이 추가되었을 뿐이다.

추가 공급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최근 훨씬 더 큰 요인은 세계 경제 둔화(특히 세계 최대 석유 수입국인 중국)로 인한 수요 감소이다.


7) 코로나바이러스의 숨겨진 비용

9세 미국 학생들의 평균 수학 점수는 2020년에서 2022년 사이에 7점 하락했는데, 이는 1970년대 장기 추세 평가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하락이었다. 같은 기간 읽기 점수는 5점 하락해 1990년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그 이유는 전염병으로 인한 셧다운, 격리 및 장기간의 원격 학습으로 인해 많은 어린이, 특히 도움이 가장 필요한 어린이들이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학생들이 앞으로 몇 년 동안 따라잡을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하지만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8) 채권 역사상 최악의 해

미국 채권은 사상 최악의 한 해를 보내고 있으며, 연초 대비 11% 이상 하락했다.

월간 기준으로 이는 현재 미국 채권 시장 하락 중 가장 긴(25개월 및 계산) 1980년 이후 최대(-12.3%) 하락이다.

말할 필요도 없이, 채권 투자자는 채권이 안전과 동의어인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하락에 익숙하지 않다. 


9) 글로벌 경기 침체

주요 경제국의 80%가 2021년의 성장률에 비해 올해 지금까지 실질 GDP의 둔화를 경험하고 있다.

 

주된 이유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긴축 통화 정책이 여전히 진행 중이며, 향후 추가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10) 무어의 법칙

1970년대에 Gordon Moore(Intel의 공동 창립자)는 반도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트랜지스터 수가 2년마다 두 배로 증가할 것이라고 대담하게 예측했는데, 연간 성장률로 계산하면 41%가 된다.

미래의 트랜지스터 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공식은 "무어의 법칙"으로 알려졌다.

 

몇 년 동안 트랜지스터 수가 어떻게 증가했는가?

1971: 2,300
1974: 5,000
1978: 29,000
1982: 134,000
1985: 275,000
1989년: 1,180,000
1993: 3,100,000
1997: 8,800,000
2001년: 45,000,000
2005년: 228,000,000
2009년: 904,000,000
2013년: 4,200,000,000
2017: 19,200,000,000
2022: 114,000,000,000


무어의 공식을 사용하여 2022년에 예측된 숫자는 무엇인가? 109,143,205,468.

반응형

댓글